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프리한19, 한국인만 모르는 세계 속 K-파워 19. 1~5.

by 속좁은펭귄 2023. 3. 4.
반응형

1. 파리지앵도 반한 고구마케이크.

미국, 프랑스, 독일등 해외에서 인기있는게 고구마케이크라고해요. 우리에겐 익숙하지만 그들에겐 생소한 고구마케이크.

 

 

외국에서 고구마는 단맛이 덜해 채소라해서 디저트로 잘 사용하지 않는다고 해요. 하지만 우리나라 고구마는 달달하면서 촉촉해 한번 맛보면 못 잊죠. 여기에 고구마로 만든 무스와 생크림까지 올리면 완벽한 컬래버죠.

 

 

고구마케이크를 먹은 외국인은 " 고구마케이크를 처음 먹는 순간, 내 인생은 완전히 바뀌었어"

"노란빛도 너무 예쁘고 고구마 맛도 나고 어떻게 이렇게 달고 맛있지?  이런 맛은 먹어 본적 없어!"

미슐랭 디저트를 맛 본거 같다는 외국인들, 특히 프랑스에서도 고구마케이크의 인기가 어마어마하다고 하네요.

유럽인들은 졸업 축하파티에서도 크리스마스 파티에서도 고구마케이크 사려는 사람들이 많아지고 있다고해요. 그래서 인터넷에서도 K-고구마케이크 레시피 영상이 있는데 너무 맛있어서 나눠 먹지 못하면 혼자 먹으라고. 

 

2. K-유자차!

미국 대표적인 유기농 전문 W마켓은 50명이상의 전문가가 모여 식품 트렌드를 결정해 전 세계 식품 시장에 영향을 준다고해요. 2022년 선장한 트렌드 식품은?

우리 가정집에 흔히 있는 유자차라고해요. 우리나라는 유자차를 즐겨 먹지만 해외에서는 유자청이나 주스로 해산물이나 고기요리등의 요리에 소스로 많이 활용하죠. 

 

 

코스트코와 22만달러 규모 계약, 전 세계적으로 인기인 유자차!

유자의 원산지는 중국인데 

 

 

높은 유자함량과 고품질에 한국의 유자차를 더 선호한다고 해요. 예전에는 일본어 발음으로 유즈로 소개하는 경우가 많았는데, 방탄의 지민이 SNS에 유자차를 먹는다고해서, 이제는 유자차로 다들 알고있죠!

 

 

해외 아미들이 검색창에 유자차를 검색하자 하루 관심도가 100%에 도달! " 지민 오빠가 마시는 유자차! 궁금해서 샀어요."

한국어식 표기인 유자라고 쓰인 제품을 구매한 해외 팬들. 인증 사진을 업로드 하기도, 지민이 유즈가 아닌 유자를 유명해지게하는 선한 영향력을 발휘했네요.

미국만 아니라 홍콩, 대만, 동남아, 유럽등으로 널리 수출중이라고 해요.

 

3. 세계 노동 혁명을 일으킨 케이 노동템들!

미국 캘리포니아주 로스앤젤레스.

 

 

빨간 목장갑과 & 쪼*리는 미국인의 노동템이에요.

 

 

우리나라 빨간 목장갑은 한켤레에 200~300원이라고 저렴하고 기능성이 좋아 인기가 많고 미국의 작업용 장갑들은 있지만 최소가 몇 천원이라 막쓰기에 부답스럽다고 하네요. 거기에 라텍스 코팅이라 미끄러움 방지, 방수기능까지, 해외쇼핑몰에서 인기가 많다고해요. 많은 미국인들이 조경, 석공, 목공, 운반, 용접 등 K- 빨간 목장갑을 활용한 결과, 

 

 

극찬 후기가 쏟아지며 초대박이 났다고해요.

 

두번째 K-아이템은 농작업용 의자죠.

 

 

허리 벨트처럼 끼우기만 하면 장착 완료. 우리나라 어르신들 사이에서도 필수템이죠! 그런데 무릎, 허리 아픈건 만국 공통이죠. K- 쪼*리는 미국, 노르웨이, 일본등 진출했고, 세계인들의 노동의 질을 높여 주는 중이죠.

 

4. 세계인의 또 다른 공용어.

 

 

요즘 K-pop팬들의 실생활 공요어로 oppa, unnie. saranghae. 이 말을 돌민정음이라고 부른다고 해요. 아이돌+ 훈민정음인거죠.

 

 

가사 따라 하는 것에서 만족 않는 전 세계인의 케이팝 팬들. 이젠 한글까지 이해하고 적극활용하네요.

 

 

특유의 호칭을 발음 그대로 영어로 표기하고 

 

 

볼매와 최애라는 신조어까지 영어로 표기.

번역시 애매하고 어감을 살리기 위해 돌민정음으로 소통을 한다고해요.

 

 

누구+ 그룹 또는 형라인 이런 말들을 사용 한다고 하네요.

케이팝 팬들이 돌민정음으로 소통하는 이유는 " BTS 의 일상 표현까지 이해하고 그들의 언어까지 알고 싶어요"

 

 

i love you 대신 사랑해로! 일상에서 쉽게 돌민정음이 쓰여지고 있다고해요.

 

 

5. 원조 이기고 세계 접수한 접목선인장.

누적 수출액 1100억원, 세계 시장 점유율이 70%인 수출 효자상품!

선인장하면 가장 먼저 떠오르는게 멕시코나 중남미 나라들인데  우리나라가 자생 선인장 하나도 없는데 세계 1위인 이유는?!

 

 

예쁘네요!! 접목 선인장. 꽃처럼 예쁜 매력으로 세계 선인장 시장을 제패. 과거에는 일본이 주도했는데 우리나라도 수입에 의존하긴 했지만, 꾸준한 개발과 연구결과 원조를 이기게 되었죠.

 

 

타국산에 비해 한국산 접목 선인장의 뛰어난 색상과 일정한 규격, 독자적인 품종 개발 기술로 훌륭한 색상과 품질을 만들어 낸 한국. 그렇게 쏟아진 러브콜로 미국 호주등 세계 20개국 국가로 수출되고 있다고해요. 

네덜란드에서도 한국 선인장을 수입하고 2021년엔 화훼 수출액의 약 30%나 된다고해요. 백합 장미를 제치고 선인장이 수출액 1위를 달성. 수요를 맞추기 어려울 지경이라고 하네요.

 

출처: tvN 프리한19

 

 

반응형

댓글